맨위로가기

내곡동 (서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곡동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지역으로, 옛 언주면의 일부로 '안골' 또는 '안말'로 불리던 곳에서 유래했다. 구룡산 자락에 위치하며, 조선 시대에는 헌인릉이 있어 주택이 들어설 수 없었고, 세종대왕의 영릉이 있었으나 여주로 천장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내곡리였으며, 이후 서울특별시 성동구, 강남구를 거쳐 현재 서초구에 속하게 되었다. 신분당선 청계산입구역이 지나고, 서울언남초등학교, 내곡중학교, 단국고등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서초구의 행정동 - 잠원동
    잠원동은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속하는 법정동으로, 과거 뽕나무 재배와 양잠이 이루어지던 곳이며, 현재는 서울 지하철 3호선, 7호선, 9호선이 지나가고 학교가 위치해 있다.
  • 서울 서초구의 행정 구역 - 반포동
    반포동은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하며, 1970년대 강남 개발과 함께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면서 현대적인 주거 지역으로 변모하였고,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국립중앙도서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등의 주요 시설과 반포한강공원, 서래섬 등 다양한 공원 및 녹지가 조성되어 있다.
  • 서울 서초구의 행정 구역 - 서초동
    서초동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교육 시설과 다양한 지하철역, 주요 도로를 갖추고 있으며, 명인제약과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 서울 서초구의 법정동 - 반포동
    반포동은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하며, 1970년대 강남 개발과 함께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면서 현대적인 주거 지역으로 변모하였고,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국립중앙도서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등의 주요 시설과 반포한강공원, 서래섬 등 다양한 공원 및 녹지가 조성되어 있다.
  • 서울 서초구의 법정동 - 서초동
    서초동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초구에 위치한 법정동으로, 교육 시설과 다양한 지하철역, 주요 도로를 갖추고 있으며, 명인제약과 아파트 단지가 위치해 있다.
내곡동 (서울) - [지명]에 관한 문서
개요
이름 (한글)내곡동
이름 (한자)內谷洞
이름 (로마자 표기)Naegok-dong
행정 구역 정보
국가대한민국
광역시/도서울특별시
시/군/구서초구
법정동내곡동, 염곡동, 신원동
면적 및 인구
면적12.69 km²
인구 (2022년 2월)17,472명
세대 (2018년 6월 30일)7,338세대
행정 및 위치 정보
동주민센터 주소서울특별시 서초구 청계산로 15길 77 (신원동)
서초구 내의 내곡동 위치
서초구 내의 내곡동 위치
기타 정보
24
153
홈페이지내곡동 주민센터

2. 역사

내곡동은 역사적으로 옛 언주면의 일부였으며, 초기에는 '안골' 또는 '안말'로 불리다가 서초구 구룡산 기슭 근처의 내곡동으로 발전했다. 성남시와의 경계를 이루는 인릉산이 있다.

현재 내곡동은 헌능말, 샘마을, 능안마을, 신흥마을 등 다양한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조선 시대에는 헌인릉이 있어 주거 확장이 제한되었으며, 경주 김씨가 처음으로 정착했다.

세종대왕의 묘소였던 영릉은 1469년(예종 1년) 여주로 이장되었다. 현재 헌릉인릉은 내곡동 산13-1번지에 위치해 있다.[5][6]

시기행정 구역
조선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내곡동
일제강점기1914년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내곡리
1963년서울특별시 성동구 편입 내곡동, 언주출장소 탑곡동사무소(염곡동 장승꽂이)
1973년서울특별시 영동출장소 관할 내곡동
1975년서울특별시 성동구에서 분리, 신설된 강남구 내곡동
1988년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분리, 신설된 서초구 내곡동


2. 1. 조선 시대

내곡동은 옛 언주면의 일부로서 본촌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안골’, ‘안말’로 불리던 것이 한자로 내곡동이라 된 것이다. 서초구 구룡산 자락에 위치하며, 성남시와 경계를 이루는 인릉산 사이의 분지에 자리잡고 있다. 현재 안골, 헌능말, 샘마을, 능안마을, 신흥마을 등의 자연부락이 흩어져 있다.[3]

조선시대에는 이곳에 헌인릉이 있어 주택이 들어설 수 없었으며, 수목이 울창하여 호랑이·여우 등의 짐승이 출몰하던 지역이었다. 내곡동은 처음 경주 김씨가 안골에 정착하였다.[3]

내곡동을 둘러싸고 있는 산은 서초구 구룡산이며, 앞에는 성남시와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인릉산이다. 내곡동 구룡산 기슭에 세종대왕이 묻힌 영릉(英陵)이 있었으나, 1469년(예종 1년)에 여주로 옮겨졌다. 내곡동 산 13-1번지에는 헌릉·인릉이 있다.[5]

2. 2. 일제강점기와 해방 이후

내곡동은 옛 언주면의 일부로서 본촌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안골', '안말'로 불리던 것이 한자로 내곡동이 된 것이다. 서초구 구룡산 자락에 위치하며, 성남시와 경계를 이루는 인릉산 사이의 분지에 자리잡고 있다. 현재 안골, 헌능말, 샘마을, 능안마을, 신흥마을 등의 자연부락이 흩어져 있다. 조선시대에는 헌인릉이 있어 주택이 들어설 수 없었으며, 수목이 울창하여 호랑이, 여우 등의 짐승이 출몰하던 지역이었다. 내곡동은 처음 경주 김씨가 안골에 정착하였다.[3]

내곡동을 둘러싸고 있는 산은 서초구 구룡산이며, 앞에는 성남시와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인능산이다. 내곡동 구룡산 기슭에 세종대왕이 묻힌 영릉(英陵)이 있었으나, 1469년(예종 1년)에 여주로 옮겨졌다. 내곡동 산 13-1번지에 헌릉·인릉이 있다.[5][6]

시기행정 구역
일제강점기1914년 경기도 광주군 언주면 내곡리
1963년서울특별시 성동구 편입 내곡동, 언주출장소 탑곡동사무소(염곡동 장승꽂이)
1973년서울특별시 영동출장소 관할 내곡동
1975년서울특별시 성동구에서 분리, 신설된 강남구 내곡동
1988년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분리, 신설된 서초구 내곡동


3. 지리

내곡동은 서초구 구룡산 자락이며, 성남시와 경계를 이루는 인릉산 사이에 형성된 분지에 자리잡고 있다. 현재 안골, 헌능말, 샘마을, 능안마을, 신흥마을 등의 자연부락이 산재해 있다.[3][4]

구룡산 자락에는 세종대왕의 묘소인 영릉(英陵)이 있었으나, 1469년(예종 1년)에 여주로 이장되었다. 영릉 묘역 조성 당시 구룡산과 앞산을 연결하는 공사를 하여 계곡 바람과 물길을 돌린 인위적인 언덕인 "작고개"가 만들어졌고, 인릉·헌릉 사이에는 헌능말이 있었다.


  • 구룡산 내곡등산로: 헌릉로 SK셀프 퍼스트파크주유소.
  • 구룡산 염곡동 탑성마을등산로: 헌릉로 염곡동 염곡IC 탑성마을 버스정거장.

3. 1. 구룡산과 인릉산

내곡동은 옛 언주면의 일부로서 본촌의 안쪽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안골', '안말'로 불리던 것이 한자로 내곡동이라 된 것이다. 서초구 구룡산 자락이며, 성남시와 경계를 이루는 인릉산 사이에 형성된 분지에 자리잡고 있다.[3] 현재 안골을 비롯하여 헌능말, 샘마을, 능안마을, 신흥마을 등의 자연부락이 산재해 있다.[4] 조선시대에는 이곳에 헌인릉이 있어 주택이 들어설 수 없었으며, 수목이 울창하여 호랑이·여우 등의 짐승이 출몰하던 지역이었다. 경주 김씨가 처음으로 안골에 정착했다.

내곡동을 둘러싸고 있는 산은 서초구 구룡산이며, 앞에는 성남시와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인릉산이다. 내곡동 구룡산 기슭에 세종대왕이 묻힌 영릉(英陵)이 있었으나, 1469년(예종 1년)에 여주로 이장되었다. 내곡동 산 13-1번지에 헌릉·인릉이 자리잡고 있다.[5][6]

4. 특징

구룡산 자락에 세종대왕의 영릉(세종대왕 초장지) 묘역을 조성하기 위해 구룡산과 앞산을 연결하는 공사를 하였다. 이때 계곡 바람과 계곡물을 돌리는 인위적으로 만든 언덕인 "작고개"와 인릉·헌릉 사이 내곡동에 있던 헌능말이 있다.[1]

5. 교통

6. 교육

7. 아파트

포스코이앤씨 서초 더샵 포레: 2014년 8월

참조

[1] 웹사이트 내곡동 (Naegok-dong 內谷洞) http://www.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4-19
[2] 웹사이트 The status quo of Naegok-dong http://www.seocho.go[...] Seocho District official site 2008-04-19
[3] 뉴스 박근혜 前대통령 삼성동 자택 팔고 내곡동에 집 샀다 - 구룡산 안골마을 - 2017년 4월 22일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7-04-22
[4] 뉴스 박근혜,내곡동으로 이사 - 삼성동주민들 "동네조용해지기를" 2017년 5월 6일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7-05-06
[5] 웹인용 산림청 - 우리산/ 숲길 - 우리산전체보기 - 구룡산 http://www.forest.go[...] 2017-04-28
[6] 웹사이트 서초구 내곡동 지명유래 http://www.seocho.go[...] 2012-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